안녕하세요. 조씨가 알려주는 IT이야기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저가형 QLED TV를 지인 구매 및 정보 관련으로 찾아보던 중 특정 판매처에서 버젓이 교묘한 마케팅으로 판매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이전에 제품도 동일하게 판매하는 것을 보아 총판에서 해당 방식대로 로고와 일부 디자인만 바꿔서 납품을 하는 모양인데 QLED TV가 모두 같은 TV로 오해가 발생 하지 않도록 공익 목적으로 포스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독자는 디스플레이 전문가는 아니므로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참고 용도로 봐주시면 됩니다. 검증된 사실 기반의 내용이므로 전달하기 쉽도록 최대한 축약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중립적인 시선으로 전달하겠습니다.)
QLED TV 의 기본 조건
해당 유튜브 링크 속 제품은 삼성제품 QLED TV 75인치 분해 모습입니다. 위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삼성은 QLED 퀀텀 닷 기술을 QDEF(Quantum Dot Color Filter) 방식을 활용합니다. 오리지날 QLED(QDEF) 방식은 백라이트는 청색광을 통해 빛을 내보내고 앞에 특별한 퀀텀 닷 필름이 탑재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백색광을 만들고 컬러볼륨을 개선 시키는 형태 입니다.

이것은 QDEF 방식의 패널 구조도 온칩 방식은 또 다르게 작용합니다.
최근 중국 제품 QLED 품질 논란의 검증 영상
최근에 보도된 내용입니다. 중국 업체명은 TCL 제조사로 미니LED 기술 , LCD 기술로 해외에서 가성비 기업으로 인지도가 있습니다. 저렴하면서 삼성과 LG 와 같은 대기업의 플래그쉽 제품과 견디어 비교 하는 영상도 많을 뿐더러 QLED 관련으로 인지도를 쌓은 기업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사 내용을 자세히 보시게 되면 코니카 사의 분광방사휘도게로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갈라지는 모습 즉 형광체를 사용한 모습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즉슨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62595-1-6표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다는 것이고, 퀀텀닷 재료(필름 등) , 청색 LED 광원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https://www.samsung.com/sec/business/insights/news/news_250512_05/) 삼성전자 뉴스 공식 내용입니다.
한때 QLED 모니터 기술 관련으로 논란이 되었던 (오리온 탑싱크) https://projecteli.tistory.com/151 블로그를 통해 해당 기술에 대한 자세한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쿠X 쇼핑몰의 저가형 QLED TV 의문점
해당 글을 통해 처음 쿠X 저가형 QLED TV 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저렴한 제품에 퀀텀 닷 필름이 탑재되면서 약 30만원 대의 QLED TV 를 만들어 낸다? 엄청납니다. 마진 상으로 계산한다면 오히려 대기업 TV 제조 회사 보다 뛰어난 기술력과 엄청난 가성비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서 의문이 생겼었습니다. 과연 QLED 방식이 ‘삼성과 동일한 QDEF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표현 하는가?‘ 였습니다. 온-칩 방식은 열과 유기물에 대한 내구성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퀀텀닷 물질 없이 판매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제에 진행합니다)
퀀텀 닷 QLED TV 특정 업체 조사
조사 대상 조건
- QLED 명칭 사용 여부 (상품페이지, 광고물에 QLED, Quanturm DOT, QDEF . 퀀텀 닷 필터 , 퀀텀 닷 백라이트 등을 표기한 경우)
- 제품 가격대 및 인기가 많은 상품 (LCD 디스플레이와 버금가는 수준의 QLED TV 낮은 가격대 제품)
- 대기업 제품이 아닌, 중소, 중국 업체 OEM/ODM 제조사 브랜드 (쿠팡 위주로 탐색 진행)
- 패널 및 백라이트 구조 여부 (QLED 물질이 없는 형태의 패널, 및 퀀텀닷 층 QDEF 필름 방식인지, ON-CHIP 방식인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는 상품)
- 관련 기술에 대해 질문 하였으나 명확하게 제품 특성을 알지 못하는 업체 등

쿠팡에서 해당 조건을 부합하는 제품이 있습니다. 업체 명은 공개 하지 않겠습니다.

높은 확률로 43인치 4K QLED 패널을 돌려서 상표만 바꿔 판매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물론 해당 제품은 120Hz로 패널이 미묘하게 다를 수는 있으나 해당 가격대에서 원가 마진 등을 계산한 퀀텀 닷이 탑재된 제품을 만들려면 사실 상 중국에서 제조 된 패널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해당 제품에 구체적으로 기술적 질문을 정리 및 작성하여 판매자 측에 문의를 넣어봤습니다. 상세페이지는 제품이 특정 될 소지가 있어서 따로 넣지는 않았으나 해당 질문한 내용과 같이 상세페이지에 명시 되어 있던 부분들로 되어 있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종적으로 답변은 공급처와 연결이 어려워 정확한 답변이 어렵다. 제가 볼 때는 기술적으로 설명 할 수 없거나 또는 답변을 회피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판매자 입니다. 같은 패널을 사용하고 상품페이지 또한 위와 비슷한 전달을 하지만, 판매처마다 마케팅 용어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같은 패널일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그래도 디스플레이 정보란에 퀀텀닷에 표기는 별도로 없습니다. 또한 패널 명과 400cd 정도의 밝기를 제공 한다고 대략적은 명시가 되어 있어서 별도로 질문은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상품페이지 내용은 퀀텀 닷에 관련된 내용은 들어가 있습니다.

같은 패널을 사용한 것을 보고 간단하게 다른 판매자에게 3번 째 질문을 하였습니다. 제품 특성으로는 중소바이미 제품입니다. 답변은 퀀텀 닷 필름은 탑재 되어 있으나, 온-칩 방식은 아니다. (술을 마셨지만 운전은 안했다) 같은 답변이 굉장히 이상했었습니다. 참고로 해당 판매 페이지에는 청색광을 통한 필름을 거치지 않았고 일반 흰색 백라이트 앞에 필름 닷 필름이 탑재 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온-칩 방식이라는 것을 무슨 이유로 떳떳하게 이야기를 못하는 건지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43인치 QLED 저렴한 제품으로 검색을 진행하였습니다. 참고로 해당 페이지에 보이는 TCL 제품의 경우 상품 및 상세페이지에 퀀텀 닷이라는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색 영역 표현에 대한 언급은 있었습니다.

상품페이지에 퀀텀 닷 필터 용어가 탑재되어 있어서 해당 내용을 토대로 질문하였습니다. 결론의 답변은 백라이트와 액정 사이에 퀀텀 닷 필터가 내장 되어 있다. > 퀀텀 닷 필터라는 것은 QDCF방식을 의미합니다. 온-칩 방식인 것을 애매하게 퀀텀 닷 인 것처럼 혼동하여 답변 한 것 같습니다.
현재 저가형 브랜드 중소기업 제품들 대부분이 QLED 라고 홍보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마케팅 용어에 가깝고. 특히나 상세페이지에는 과장 광고에 가까운 자료를 활용하는데 교묘한 마케팅에 주의하고 저가형 브랜드 제품은 어느정도 검증 되고 후기가 좋은 제품 위주로 구입을 권장드립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즐겨보는 채널인데 기술적 방식에 대해 상세하고 명확하게 설명이 되어 있는 영상 자료입니다. 해당 내용처럼 퀀텀 닷(삼성을 제외) inorganic 형광체 물질을 발라 놓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느낌상, 해당 내용을 직접적으로 파란색 파장을 이용했다. 하거나 삼성과 유사한 방식의 QLED 물질을 사용하지 않았기에 답변을 명확하게 하지 않고 회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결론 •
기술 동일성으로 오도하여 삼성과 동일한 QDEF 방식이나 퀀텀 닷 이라고 표기는 하였으나 실제로는 ON-CHIP 방식을 활용하거나, 브랜드를 연상을 유도 하여 좋은 제품으로 표현을 남용하는 모습, 상세페이지에는 QDEF 구조가 있는 것처럼 표현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해당 부품이 미탑재되는 모습 등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궁금하거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 주시면 최대한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