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빙큐빅스 스마트 43인치 QLED UHD 구매후기 (QLED분석 / 리뷰)

안녕하세요. 조씨가 알려주는 IT이야기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빙큐빅스 스마트 43인치 삼탠바이미 제품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지인이 직집 구인한 관계로 일절 지원 받지 않았습니다. 친구의 자취방에서 LG 스탠바이미 쓰는 것으로 보고 뿜뿌를 참치 못해 충동구매를 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제품도 궁금할 겸 같이 조립해보면서 제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쿠팡에 그냥 상단에 있는 제품을 구입했다고 합니다. 물론 저라면 패널이나 사운드 및 내구성 등을 겸해서 기피할 것 같긴한데.. 제 돈 아니니까 그러려니 했습니다. 사진은 FHD 모델인데 QLED 4K 제품으로 구입하였습니다.


무빙큐빅스 스마트 43인치 삼탠바이미 언박싱 및 리뷰

박스가 생각보다 큰 상자로 배송 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구성품이 TV박스와 스탠바이 스탠드 박스로 같이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스탠드와 동일한 구성으로 독자적 제품인 줄 알았습니다.

스탠드 박스를 꺼내고 나면 아래에 QLED TV를 보실 수 있습니다.

패키징 방식은 일반 저가형 TV 포장과 동일합니다.

내부에는 TV 용도로 벽 및 거치대 용도로 장착 할 수 있는 브라켓이 있습니다.

280cd 밝기이니 전력소비는 1등급이 나오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전반적인 tv 빌드퀄리티는 썩 좋지는 않습니다. 저렴한 플라스틱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220v 나 자체적으로 케이블로 연결 된 것이 아닌, 돼지코 연결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마 스탠바이미랑 연결해야 하다 보니 이런 방식으로 만들지 않았나 싶습니다.

포트 구성은 이더넷포트, 광단자(오디오), 매우 보기 힘든 RCA 단자 , HDMI 포트 (버전은 별도로 명시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ANT 단자, USB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V는 나중에 보고 이제 유압식 스탠드 삼탠바이미 제품을 알아보겠습니다.

박스 구성은 잘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씩 빼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스탠드 봉 대, 암 브라켓 부분, TV 전원과 와 연결 하는 케이블 나사 등 이 있습니다.

바닥에는 스탠바이미를 이동 할 수 있게 바퀴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고무로 된 재질이라 평평한 바닥에서는 조용하게 이동도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조립을 약 3분에 1정도 하였습니다. 받침대 하중이 생각보다 무겁지는 않아서 망가질 걱정이 되기는 합니다. 그래도 공식적으로 43인치를 지원한다고 했기 때문에 지장은 없지 않을 것 같네요.

하단에 케이블 구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하게 됩니다. 다만 걱정되는게 해당 플러그 부분인데 별도로 마감을 조금 더 신경 쓰면 낫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해당 플레이트를 통해 TV에 장착 후 연결 하는 것 같습니다. 43인치 모델의 경우 추가 연장 브라켓을 이용해야 장착이 가능하다고 해서 전부 필요합니다.

브라켓 조립 후 해당 TV 후면 나사를 통해 조립해주시면 됩니다.

기존에 장착된 나사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브라켓에 동봉된 나사를 활용하라고 했는데 사실 길이만 조금 더 긴 것 같습니다.

별도로 영상으로 볼 수 있는게 있어서, 참고하면서 조립했습니다. 그런데 다양한 나사가 있고 남는게 있어서 다시 찾아보니 다른 모니터에 조립할 때 사용하는 나사라 크게 신경 쓸 필요 없다고하네요. (나사에 와셔도 없고 많이 불안하긴 합니다..)

조립에 40분 가량 머리를 붙들고 완성했습니다. 이리저리 흔들어보니 불안한건 여전한데, 그래도 고정 되는 부분은 강하게 조여 놓았기에 문제는 발생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스탠드 높이를 조절한다면 횐색 버튼을 누른 후 붐 업/다운 이 가능합니다.

이제 전원을 켜보겠습니다.

일단 첫 화면을 보자마자 느낀건.. 이거 4K 맞겠지 라는 걱정으로 시작합니다..


디스플레이 분석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진행해봤습니다. 해당 제품 패널이 이 가격대 QLED를 지원한다고 했기 때문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간단하게 서칭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필름을 제거하기 전 상단에 패널 명이 부착된 스티커를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저가 제품 및 중소기업 특성상 중국제 패널을 활용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구글링을 통해 검색 해봤습니다.

퀀텀닷이라고 했는데 퀀텀닷 필름 하나 보이지 않습니다(?) 뭐지.. QLED 퀀텀닷을 명확하게 하려면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이야기 하는 QLED 표준으로 청색광 백라이트를 사용하고, 퀀텀닷 부품(필름)을 탑재해야한다고 규정 하고 있습니다.) 아 이거 뭔가 쌔한데..(오리온X싱크 논란이 기억나네요) 백라이트가 과연 청색광인지 아닌지는 뜯어봐야 알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에 넘어가도록 하고, 컬러스펙트로미터 와 같은 측정 장비로 찍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품 페이지에는 퀀텀닷 필름이 백라이트 부품 앞에 라는 것이 명시되어 있고, 퀀텀 닷 백라이트 (ITU에서 기술표준은 백라이트가 청색이어야 함) 합니다. (오리온 사건처럼) 백라이트에 on-chip 방식으로 퀀텀닷 물질을 놨다면 일리는 있습니다. 대신 퀀텀닷 필름을 백라이트 부품 앞에 배치 가장 의문스럽습니다. 과연 퀀텀닷 필름이 있을까요? 지인 제품이라 분해를 못해서 너무 아쉽습니다.

QLED 제품이라고 명시를 해놓았으며, 밝기는 280cd, LED 방식의 업그레이드 QLED 방식으로 정리 하였으며, 퀀텀닷 패널이라고 확실하게 명시 한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 상단 이미지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AUO 패널도 아니고 대기업(?) 이노룩스 패널이 탑재되었습니다. 만약 대기업이 LG나 삼성 같은 패널을 사용 했더라면 상세페이지에도 여러 번 이야기 했었겠지만 그러지 않았기에 크게 문제 될건 아닙니다.

HDR을 지원한다고 말하는 것 같은데 지원만 하지 실질적으로 HDR 컨텐츠를 본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밝기가 280cd로 최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HDR400에도 턱 없이 부족합니다. 말그대로 지원만 한다고 했지 별도의 인증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하나도 없습니다.

추가 문의 진행 사항 25-08-06

쿠팡을 통해 물어보니 ‘퀀텀닷 필름’ 이 탑재되었다고 합니다.. 뭔가 기술적으로 아시는 분이 답장 한 것 같 지가 않아서 별도로 고객센터를 통해 연락을 취했습니다.

나. : 상세페이지에 QLED라고 명시가 되어 있는데 퀀텀 닷 백라이트가 탑재가 되었고? 퀀텀 닷 필름이 앞에 탑재된게 맞나요?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어디에요?

나 : 상세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쿠팡에 있어요. 이게 확실하게 퀀텀 닷 패널(필름) 청색 광이 있는 백라이트가 탑재되었나요?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필름 방식은 아닙니다. 그 에몰레이드(?) 방식 퀀텀 물질이 들어간 백라이트(온-칩 방식)를 사용하는 거예요.

나. : 온-칩 방식으로 이해해야 하나요? 그러면? 퀀텀 닷은 백라이트에서 해결 하고 결론적으로 퀀텀 닷 필름이 없다고 보면 되는걸까요?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온-칩이라는게 퀀텀 닷 필름을 쓰는 것이 아닌 퀀텀 닷 재료가 탑재된 백라이트를 쓰는거예요. 광 자체가 퀀텀닷이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백색광을 청색광을 만들어낸다고 보시면 되는거예요.

나. : 패널을 조사 했을 때 필름이 보이지 않으니까 사실상 온-칩에만 퀀텀 닷 물질이 있는 상태로..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퀀텀 닷이라는 것도 마찬가지고 일반적으로 삼성에서 쓰고 있는 방식이 청색광을 뿌려서 퀀텀 닷을 통과해 백색광이 나오는 방식이라면 이 제품은 FEL 광선을 내보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나. : 그러면 퀀텀 닷 필름을 백라이트 부품 앞에 배치했다고 하는데 결론적으로 온-칩 방식으로 퀀텀 닷 효과를 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네 그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쿠팡에서 필름을 사용했다고 표시가 되어있다고요?

나 : 네 퀀텀 닷 필름을 백라이트 앞에 배치하여 그런데 이게 사실 교묘하거든요.

익스프레스럭코리아 고객센터 : 한번 더 확인을 쿠팡 설명하면서 (잘못된)되어 있는게 있어서 오해 부분은 정정하라고 하겠습니다.

결론은, 온-칩 방식의 퀀텀닷이다. 대신 상세페이지처럼 퀀텀닷 필름은 없다. (온-칩 방식은 백라이트에서 모든 것을 해결 후 백생광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맞습니다) 하지만 백라이트에 명확히 퀀텀 닷 (카드뮴) 같은 성분이 있는지 확인은 안됩니다. 따로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만약 없다면 이건 사기에 가깝습니다.

25-08-11 추가사항 2차

아무리 봐도 잘못된 정보로 판매하는 경향이 보여서 위 내용들을 상세하게 정리 후 쿠팡에 상품신고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품절 처리로 바뀌었고 공식사이트에서만 판매하는 것으로 보아 쿠팡 측에서 별도의 조치가 들어간 모양입니다.


리모컨은 재질은 저렴한 플라스틱 느낌이 나기는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충분히 활용 할 수 있게 다양한 버튼이 있습니다. 첫 로딩시 구글TV / LG 방식처럼 초기화면으로 진입합니다.

패널의 경우 BGR 방식이 아닌 RGB 배열이며(6픽셀 확인불가), VA패널 입니다. 개인적으로 보는데 잔상이 생각보다 꽤 심하고 오래 놔두면 이미지리텐션도 발생되서 저라면 사지 않을 제품입니다. UHD라고 보기 힘들고 화질적으로 보면 FHD 처럼 보일겁니다.

그럭저럭 화면은 무난하게 송출됩니다. 그런데 캘리브레이션이 제대로 된 것 같지는 않아서 그런데 가격 때문에 그렇다치고.. 일단 색이 너무 이상하게 나옵니다. 화면 모드를 이리저리 바꿔봐도 그 자연스러운 IPS 색감이 나오지 않는다는 거 알고 계셔야합니다.

결제는 제가 한 게 아닌 지인이 한 제품이라 사진으로 보시는 것처럼 만족하다고 하네요.

반사방지 처리가 되어 있기는한데.. 모니터 방식의 반사방지 처리가 아닌, 글레어 패널에 반사방지를 처리를 하였습니다 (애플 맥과 비슷) 그런데 반사율이 꽤 높습니다. 최대한 빛이 없는 환경에서 시청을 권장드립니다. (280cd 밝기로는 주간에 택도 없습니다)

추가로. 4K 영상 시청시 이미 언급한 잔상과 더불어 저가 스펙답게 버벅임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가격을 대비 하면 무난한 수준입니다.


사운드

TV자체에서는 돌비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사실 다 아는 내용이겠지만 결론적으로 형편없다고 생각합니다. 10W 스피커가 2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같은 곡은 아니지만 확인 해보면 좋을 내용이라 영상으로 남겨놓겠습니다. 기본 설정 값은 경악스러울 품질(듣보잡 노트북 스피커 급) 그래서 소리를 선명함으로 바꾸고 (우퍼 약 74% / 고음 43%) 정도로 설정하니 어느정도 괜찮아졌습니다. 서라운드 사운드는 반드시 켜짐 모드를 권장합니다.


고품질의 사운드를 듣고 싶으시다면 준수한 BOSS 같은 스피커가 탑재된 제품으로 구성 하시거나, 별도의 홈시어터 (사운드바) 같은 제품이 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결론

교묘한 마케팅에 조심하고, 괜히 대기업이 가격을 비싸게 파는게 아니다.


궁금하거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 주시면 최대한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